반응형

서론

해당 글은 구글이나 네이버, 빙 등의 검색 포털사이트 웹마스터도구에 제출할 사이트맵을 만드는 방법을 설명하였다. (티스토리 기준)

내용

1. 사이트맵을 온라인 상에서 만들 수 있는 Online XML Sitemap Generator 사이트에 접속한다.
   본인의 블로그 주소를 입력한 후 [Get free XML Sitemap] 버튼을 클릭한다.

Online XML Sitemap Generator 사이트 화면


2. 사이트맵이 생성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. 

   생성된 사이트맵을 그냥 사용해도 되지만, 상세 설정을 통해 조금 더 구체적인 사이트맵을 만들기 위해 [Generate new Sitemap] 버튼을 클릭한다.


사이트맵(기본값) 생성 화면


3. 아래와 같은 절차를 거쳐 상세설정 후 사이트맵을 다시 생성한다.

   3-1. 아래 화면에서 1항목의 본인의 블로그 주소를 확인한 후에 2항목 Security code를 작성한다.

   3-2. Page change frequency 항목이 기본적으로 Daily로 되어 있는데, 이 항목을 Always로 바꿔준다.

         해당 항목은 페이지가 어느정도 주기로 변경이 되는지를 설정하는 부분이다.

   3-3. 서브도메인을 운여할 경우, 하단의 Subdomains를 체크한다. (티스토리 블로그처럼 서브도메인이 없으면 안해도 됨)

   3-4. [Create free XML Sitemap]을 클릭한다.

   


4. 아래 그림은 블로그에 게재된 게시물들을 자동으로 검색하여 사이트맵이 생성되고 있는 화면이다. 기다리면 된다.


사이트맵 생성이 진행되고 있는 화면


5. 사이트맵 생성이 완료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는데, 해당 화면에서 [download your Sitemap]을 클릭한다.


사이트맵 생성이 완료된 화면


6. 아래 화면이 나타나면 [download]를 클릭하여 본인의 PC에 생성된 사이트맵을 저장한다.



      ※ 다운로드한 사이트맵 xml파일을 열어보면 아래와 같은 구조로 생성됨을 알 수 있다.


생성된 사이트맵 예시


7. 본인의 블로그에 글쓰기 기능으로 진입하여 비공개 게시글을 작성한다.

   7-1. 제목은 아무렇게나 지정해도 상관없다. 필자는 sitemap이라는 제목으로 작성하였다.

   7-2. 에디터의 [파일] 버튼을 클릭하여 다운로드한 사이트맵 xml 파일을 업로드한다.

   7-3. 업로드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으면 게시글을 발행한다.


본인의 블로그에 사이트맵을 게시하는 방법


8. 작성된 sitemap 게시글을 조회해보면 sitemap.xml 파일 링크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.

   해당 링크를 마우스 우클릭하여 링크 주소를 복사한다.

   이렇게 복사된 링크를 각 포털사이트의 웹마스터도구에 붙여넣어 제출하면 된다.

   ※ 복사된 링크 예 : http://taespapa.tistory.com/attachment/cfile9.uf@997EBC455C943A8506C6C9.xml


사이트맵 URL 복사 방법


반응형

+ Recent posts